안녕하십니까?용인세브란스병원 디지털의료산업센터입니다. 개원 5주년을 기념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과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자 「용인세브란스병원 디지털 헬스케어 해커톤」을 개최 할 예정입니다. 본 행사는 5.9.(금)~5.10.(토) 무박 2일 동안 진행되며, 경기도 소재 대학(원)생과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직원을 대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대회로, 생성형 AI 활용과 의료데이터 분석 등 각 트랙별로 멘토와 조교가 함께하여 지원할 예정입니다.또한, 참가자에게는 식사, 기념품 등 혜택이 제공되며, 총 300만원 상금 및 70만원 상당의 상품이 수여됩니다.본 행사에 앞서, 참가 희망자를 대상으로 트랙별 주제와 데이터 분석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사전 교육이 마련되어 있습니다.이번 사전 교육을 통해 해커톤의 주요 내용과 실습 환경을 미리 숙지함으로써, 원활하게 해커톤에 참여하실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사전 교육]일시 : 2025.04.04.(금) 15:00~17:00장소 : 용인세브란스병원 4층 대강당★ 사전교육(4.4.(금)) 등록하기★ 해커톤 행사(5.9.(금)~5.10.(토)) 신청하기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포스터와 디지털의료산업센터 홈페이지(https://www.digitalseverance.kr/hackathon)에서 확인 하실 수 있으며, 사전 교육 신청은 포스터 내 QR 코드를 통해 등록이 가능합니다.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해커톤 운영 사무국 드림(T. 031-5189-8924, E. digitalhealth@yuhs.ac)
2025.03.26■ 논문제목 관련Q1. 논문제목 변경 시점➥ 논문 제목은 학위청구논문 심사결과보고서 제출 시점 이전까지는 얼마든지 변경해도 무방합니다. 단, 최종 심사 결과 보고서에 기재되는 논문제목은 반드시 최종 확정된 것이어야 합니다.※ AIMS상에 입력된 논문제목이 국문 학위기에 그대로 출력되므로 결과보고서에 기재된 논문제목과 AIMS상의 논문제목이 상이하다면 반드시 연락주셔야 합니다. ※ 최종 심사 결과 보고서 제출 이후 논문제목에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반드시 학생은 논문제목 변경원을 작성주셔야 합니다. Q2. 논문제목 글자 수 제한➥ 논문제목은 26자 내외로 정할 것을 권고 드리고 있으나 다소 초과되어도 무방합니다. Q3. 논문제목 특수문자 포함 가능 여부➥ 논문제목에 원자번호 등의 아래첨자와 같은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국문 학위기 출력 시 오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심사결과보고서 제출 시점에 저에게 별도로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박사학위 심사위원 위촉 관련Q1. 심사위원 구성➥ 박사학위 청구논문 심사위원은 5인 이상(보통 5인입니다)으로 구성하고, 본교 전임교원 3인과 교외인사(외부교수 또는 전문가) 1인을 포함'하여야' 합니다. 다시 말해 다섯 자리 중 네 자리는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Q2. 타 학과 교원 위촉 가능 여부➥ 교내 심사위원은 해당학과의 교원을 우선으로 위촉해야 하지만, 전공분야가 유사하다면 인접분야의 타 학과 교원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학위청구논문 학회지 게재 관련Q1. 게재예정증명서와 지도교수확인서의 차이➥ '게재예정인 경우에는 '게재예정증명서'를 제출'이라는 표현의 어휘적 한계로 혼동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학회지로부터 '게재예정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다"는 건 "해당 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할 것이 확정"된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시 말해 게재예정증명서라는 서식이 서식명에 '예정'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어 혼동하실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게재(확정)증명서'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대로 '지도교수확인서'는 학회지로부터 게재예정증명서를 제출할 수 있다는 어떠한 확언도 없는 상태로 단지 "해당 학생의 지도교수님께서 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할 것임을 확인 받았다"는 정도의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게재미확정인 경우에 지도교수확인서를 제출'해야 하는 것입니다.※ 두 경우 모두 심사원 제출 시점에 게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심사기간 중 게재가 완료되면, 결과보고서 제출 시에 게재 논문 별쇄본 표지를 반드시 제출해 주셔야 합니다.Q2. 지도교수확인서 서식의 '최종 졸업사정일'의 의미➥ 지도교수확인서 서식상에 게재예정증명서 제출기한으로 기재되어 있는 '최종 졸업사정일'이라 함은 논문 심사결과보고서 마감 이후 2주 이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되는데, 이 2주 이내에 ①학회지로부터 게재예정증명서를 발급 받지 못하거나, ②학회지에 게재가 될 것임을 확인해 주는 기타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 해당 학생은 논문심사결과와 상관없이 해당 학기 졸업불가입니다.※ 위와 같이 학회지 게재예정 또는 게재미확정인 경우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학과 제출서류 중 학위청구논문 제출 현황표에 반드시 별도로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회지 논문게재 저자구분 관련➥ 반드시 주저자(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작성해야 하는데, 공동주저자로 작성한 경우도 인정됩니다. 제2저자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심사비/지도비 지급 관련Q1.심사 취소 시 심사비 환불 가능 여부➥ 심사가 진행되기 전에 취소되었다면 심사비 환불이 가능하지만, 심사가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심사를 취소하더라도 당해 학기 심사비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심사 불합격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유로 심사비 환불이 불가합니다.■ 졸업 관련 증명서 출력 관련Q1. 졸업예정증명서 출력 가능 시점➥ 학생의 논문제목이 AIMS2에 입력되어 있고, 논문제출여부를 '제출'로 변경 후 저장 시 출력 가능합니다. 심사원 제출 이후 일정 시점부터 출력 가능합니다. Q2. 졸업증명서 출력 가능 시점➥ 학위수여일 오전 10시 이후부터 출력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2024.03.27아주대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연구센터가 산학협력부문 우수과제로 선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시상식은 지난 11월14일부터 이틀동안 제주 롯데호텔에서열린 <ITRC 워크숍 2024>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협의회가 'ICT 산업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양성'을 주제로 마련했다. 대학ICT연구센터∙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ICT명품인재양성 3개 사업의 연구 책임자와 참여 교수들이 자리했다.우리 학교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연구센터(연구책임자: 정태선)는 산학협력 부문 우수과제로 선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워크숍에 함께 한 전국 37개 대학 80개 연구센터 중 3개팀이 장관상을 받았다.과기정통부의 ‘대학ICT연구센터’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우리 학교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연구센터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환경을 고려, 베이비부머 세대를 타깃으로 한 효과적 라이프 컨설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연구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과 AI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및 가상캐릭터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가상캐릭터 연구(디지털미디어 석혜정∙오규환∙ Teemu H. Laine 교수, 소프트웨어 이환용 교수) ▲라이프컨설팅 연구(심리 김은하∙김경일 교수) ▲VR 플랫폼 연구(전자 김영진 교수, 소프트웨어 손경아 교수) ▲가상캐릭터 사업화 네 가지의 세부 과제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센터는 다양한 기술이전 실적과 수상 성과 등을 인정 받아 이번 장관상을 받았다. 센터 소속의 인공지능학과 BK사업단 참여교수진은 연구책임자인 정태선 교수를 포함하여 Teemu H. Laine, 손경아 교수가 있다.
2024.12.10AI technology is showing remarkable progress based on software technology and has quickly become ubiquitous in today's society. In April, 2020, Ajou University has opened the Depar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 the Graduate School to foster top-class AI experts who will lead future society. Especially, as Ajou University Depar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selected one of the recipients of research subsidies until 2027 under the fourth phase of Brain Korea (BK) 21, we strive to foster global-minded human talents equipped with technology development competence under the banner of 'DREAM AI,' which stands for Domain-aware, Robust, Efficient, Adaptive, and Multimodal AI.
MORE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