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VA AI RUSH 2022 참가모집을 시작합니다!CLOVA AI Rush 2022를 7~ 8월 두 달간 진행예정입니다.CLOVA AI Rush 를 통해 실제 많은 학생들이 인턴, 정규 취업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에는 하이퍼클로바 활용 AI기획 포함 다양한 AI서비스 기획 트랙도 별도로 운영합니다.신청은 5월 30일까지 진행예정입니다.CLOVA AI RUSH 2022☑️ 실제 네이버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해 AI 과제를 해결하고, 네이버 실무진이 멘토로 참여하는 AI 프로젝트 챌린지☑️ 모든 본선 참가자에게는 수행비를 지원하고, 우수 참가자들에게는 상금과 채용특전까지!☑️ 기존에 진행하던 AI 모델링 프로젝트와 함께 국내 최초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 기술을 이용해 직접 서비스 기획을 할 수 있는 AI 기획 프로젝트 분야 신설참가분야 - AI 모델링 개발 / AI 서비스 기획모집기간 - 5/30(월) 23:59 까지대회일정- 1라운드 : 7/5(화)~7/27(수)- 2라운드 : 8/1(월)~8/26(금)- 컨퍼런스 : 9월 초 안내예정상금 및 채용특전- 모든 본선 참가자에게 참가수행비 지원- 총 2억원 상당의 상금- 개발직군 : 22년 동계 인턴십 및 정규 채용 지원 시, 서류전형 및 코딩테스트 면제- 기획직군 : 22년 동계 인턴십 지원 시, 서류전형 면제소개 영상 시청하기 ⏯- 2021년 참가자 비하인드 : https://youtu.be/DmYW-mt6vfY- CLOVA AI RUSH 소개 : https://youtu.be/u95PBqWljpA상세사항 및 지원하기- https://campaign.naver.com/clova_airush/
2022.05.112022.05.13
우리 학교 대학원 인공지능학과 최준용·조현 학생이 한국컴퓨터비전학회 주최 '제34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IPIU 2022)'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제34회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은 한국컴퓨터비전학회를 비롯한 7개 학회와 기관이 합동으로 주최한 행사로 지난 2월9일부터 2월11일까지 열렸다. 영상 처리 및 이해, 패턴 인식, 컴퓨터 비전, 기계학습, 멀티미디어 통신 등의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 총 23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된 가운데 최준용(인공지능학과 석사과정)·조현(인공지능학과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의 논문은 우수 논문상(은상)을 수상했다. 두 학생의 논문 제목은 “Collaborative Learning 기반 Adaptive Model Knowledge Distillation”으로 CNN 기반 영상인식 딥러닝 모델 경량화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및 인공지능 혁신인재 양성사업단 BK21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지도는 황원준 교수(소프트웨어학과)가 맡았다.
2022.03.11Artificial Intelligence & AI Convergence Network Colloquium를 5월 31일(화) 오후 4시 30분에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주제: "웨어러블 로봇의 연구 개발 및 사업화 동향"* 일시: 2022년 5월 31일(화) 오후 4시 30분* 강연자: 심영보(티로보틱스 본부장)* Zoom 회의 참가 https://ajou-ac-kr.zoom.us/j/8939727285?pwd=K3F3VVVjMUQrbXJVa1ZsQXNwWE4xdz09 회의 ID: 893 972 7285 암호: 3898* Bio 2021.12 ~ Present 티로보틱스 개발 1 본부장 2020.02 ~ 2021.11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GEMS Lab 2011.11 ~ 2020.02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메카트로닉스랩 2004.09 ~ 2011.11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1990.03 ~ 2002.02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 학사 및 석사 졸업, 기계항공공학 박사 졸업 * Abstract웨어러블 로봇은 사용자가 착용함으로써 동작을 인식하고 적절한 타이밍에 신체의 근력을 보조 또는 증강해 주는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초기에는 군사용, 의료용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작업자의 상해 방지 및 노약자의 일상 거동 보조로 그 활용 범위를 지속 확장해 가고 있다. 본 강연은 크게 세 파트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웨어러블 로봇의 핵심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로봇들의 종류 및 특성과 개발 업체들의 동향을 소개한다. 2부와 3부에서는 구체적인 개발 사례를 실제 제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2부에서는 삼성전자에서 개발한 GEMS(Gait Enhancing and Motivating System)의 구성, 임상적 효과 및 활용에 대해 언급하며3부에서는 기존 웨어러블 로봇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이의 일환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이를 대표하는 스위스 Myoswiss사의 Myosuit를 소개한다.* Host: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소프트웨어학과 황원준 교수(wjhwang@ajou.ac.kr)
2022.05.27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은 현대 사회의 중심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고급 AI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아주대학교는 2020년 4월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하였습니다. 특히 2020년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4단계 BK21사업 인공지능 사업단으로 선정되어 최장 7년 동안 정부 지원을 받게 되었으며, DREAM AI, “Domain-aware, Robust, Efficient, Adaptive, and Multimodal AI” 기술 개발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을 추구합니다.
MORE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