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인공지능학과 및 SW학과에서는 'AI대학원/SW학과 의료인공지능 세미나'를 5월 1일(목) 오전 10시 30분 , 팔달관 407호에서 개최하고자 합니다. 관심있으시면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주제: Advancing Precision Medicine: Polygenic Risk Scores and Beyond * 연자: Prof. Dokyoon Kim (University of Pennsylvania) - Associate Professor of Informatics in the Department of Biostatistics, Epidemiology, and Informatics at th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 Director of the Center for AI-Driven Translational Informatics (CATI) - Associate Director of Informatics at Penn Immune Health* 일시: 2025년 5월 1일 (목) 오전 10:30 * 장소: 팔달관 407호 * Abstract: In this talk, Dr. Dokyoon Kim explores the evolving landscape of precision medicine, emphasizing the integration of polygenic risk scores (PRS), electronic health record (EHR)-linked biobank data, proteomics, and single-cell cytometry to enhance disease risk prediction and patient stratification. Dr. Kim presents recent advances in the application of PRS across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autoimmune disorders, and highlights how combining genetic risk with lifestyle and proteomic data improves clinical insights. The talk introduces innovative tools such as cyMAE, an accurate and interpretable autoencoder for high-dimensional cytometry data, and MAESTRO, a novel self-supervised transformer model that captures immune system complexity through set-based learning. These technologies address critical challenges in immune profiling and enable robust predictions across multiple disease contexts. By bridging multi-modal data and machine learning, this work aims to accelerate the translation of complex biological data into actionable strategies for personalized diagnosis and therapy.*문의: 손경아 교수(kasohn@ajou.ac.kr)
2025.04.21대학원 인공지능학과 및 SW학과에서는 'AI대학원/SW학과 의료인공지능 세미나'를 5월 1일(목) 오전 10시 30분 , 팔달관 407호에서 개최하고자 합니다. 관심있으시면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주제: Advancing Precision Medicine: Polygenic Risk Scores and Beyond * 연자: Prof. Dokyoon Kim (University of Pennsylvania) - Associate Professor of Informatics in the Department of Biostatistics, Epidemiology, and Informatics at th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 Director of the Center for AI-Driven Translational Informatics (CATI) - Associate Director of Informatics at Penn Immune Health* 일시: 2025년 5월 1일 (목) 오전 10:30 * 장소: 팔달관 407호 * Abstract: In this talk, Dr. Dokyoon Kim explores the evolving landscape of precision medicine, emphasizing the integration of polygenic risk scores (PRS), electronic health record (EHR)-linked biobank data, proteomics, and single-cell cytometry to enhance disease risk prediction and patient stratification. Dr. Kim presents recent advances in the application of PRS across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autoimmune disorders, and highlights how combining genetic risk with lifestyle and proteomic data improves clinical insights. The talk introduces innovative tools such as cyMAE, an accurate and interpretable autoencoder for high-dimensional cytometry data, and MAESTRO, a novel self-supervised transformer model that captures immune system complexity through set-based learning. These technologies address critical challenges in immune profiling and enable robust predictions across multiple disease contexts. By bridging multi-modal data and machine learning, this work aims to accelerate the translation of complex biological data into actionable strategies for personalized diagnosis and therapy.*문의: 손경아 교수(kasohn@ajou.ac.kr)
2025.04.21아주대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연구센터가 산학협력부문 우수과제로 선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시상식은 지난 11월14일부터 이틀동안 제주 롯데호텔에서열린 <ITRC 워크숍 2024>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협의회가 'ICT 산업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양성'을 주제로 마련했다. 대학ICT연구센터∙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ICT명품인재양성 3개 사업의 연구 책임자와 참여 교수들이 자리했다.우리 학교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연구센터(연구책임자: 정태선)는 산학협력 부문 우수과제로 선정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워크숍에 함께 한 전국 37개 대학 80개 연구센터 중 3개팀이 장관상을 받았다.과기정통부의 ‘대학ICT연구센터’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우리 학교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연구센터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환경을 고려, 베이비부머 세대를 타깃으로 한 효과적 라이프 컨설팅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연구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과 AI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라이프컨설턴트 및 가상캐릭터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가상캐릭터 연구(디지털미디어 석혜정∙오규환∙ Teemu H. Laine 교수, 소프트웨어 이환용 교수) ▲라이프컨설팅 연구(심리 김은하∙김경일 교수) ▲VR 플랫폼 연구(전자 김영진 교수, 소프트웨어 손경아 교수) ▲가상캐릭터 사업화 네 가지의 세부 과제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센터는 다양한 기술이전 실적과 수상 성과 등을 인정 받아 이번 장관상을 받았다. 센터 소속의 인공지능학과 BK사업단 참여교수진은 연구책임자인 정태선 교수를 포함하여 Teemu H. Laine, 손경아 교수가 있다.
2024.12.10아주대학교 AI 대학원(사업단장 최영준, 소프트웨어학과)과 의료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단(사업단장 우현구, 생리학교실)이 공동 주최하고 경기도가 후원한 ‘2024 AIAI 헬스케어 심포지엄'이 지난 9월 9일 의료원 별관 대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 세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연구자 및 산업계 전문가 7인의 연사와 AI 헬스케어의 최신 연구 동향 및 산업계 현황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는 자리로, 이날 24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아주대 최기주 총장과 경기도 정운혁 팀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산업계에서는 황희 CEO(카카오헬스케어), 유동근 CAIO(루닛), 차동철 의료혁신센터장(네이버헬스케어), 조상욱 상무(인피니트헬스케어)가 연사로 참석하여 다양한 AI 기술이 디지털 헬스케어에 적용되고 활용하는지, 그리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거대언어 모델의 적용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학계에서는 임창환 뇌공학연구센터장(한양대학교), 김진성 교수(연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 유종빈 교수(아주대학교 AI대학원)가 연사로 참석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의료 현장 적용 사례와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 등에 대해 소개했다. 또한 이동윤 MD조교, 안민호 MD조교(아주의대 의료정보학교실)가 참석하여 최신 연구결과와 경험에 대해서도 공유했다.최기주 총장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물결이 거센 이 시점에, 오늘 심포지엄을 통해 인공지능과 의료 분야의 연구자들이 대형언어모델이 헬스케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아주대학교는 2023년 7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과기부가 총 52.5억원을 지원하는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사업에 선정되어 바이오메드 및 모빌리티 인공지능 분야를 중심으로 인력양성을 수행하고 있다.
2024.09.12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은 현대 사회의 중심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고급 AI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아주대학교는 2020년 4월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하였습니다. 특히 2020년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4단계 BK21사업 인공지능 사업단으로 선정되어 최장 7년 동안 정부 지원을 받게 되었으며, DREAM AI, “Domain-aware, Robust, Efficient, Adaptive, and Multimodal AI” 기술 개발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을 추구합니다.
MORE VIEW